사진=박지현 기자
53세에 판소리에 매료된 손영준 씨는 그로부터 8년 후 어엿한 소리꾼으로 거듭났다. 늦은 나이에 시작한 만큼 더 열정적으로 판소리에 매진한다는 그는 판소리 전수에도 힘쓰고 있다.

소싯적에 판소리에 빠진 적이 있다. 문득 판소리를 배우고 싶다는 생각을 들게 만든 노래는 ‘사랑가’였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일이다. 한창 공부에 매진해야 할 나이었지만 판소리에서만 들을 수 있는 목소리의 꺾기와 마음에 와 닿는 가사에 마음을 빼앗겼다. 공부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는 조건을 내세워 어머니를 설득한 끝에 집 근처 문화원에서 판소리를 배웠다.

하지만 배움은 길지 않았다. 배우는 동안 즐거웠지만 판소리를 업으로 삼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신열을 앓듯 두달 남짓한 판소리 사랑은 끝났다.

은퇴 후 판소리에 입문해 국악인으로 살아가고 있다는 손영준 씨(61세)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문득 그때의 일이 떠올랐다. 17살이 안된다고 생각했던 일을 50세 넘은 나이에 이뤄낸 손 씨를 만나고 싶어 대전으로 날아간 이유이기도 하다.

대선을 하루 앞둔 18일 대전 자양동에 위치한 대전문화원에서 그를 만났다. 이날은 대전문화원에서 일주일에 한번 열리는 판소리교육이 있는 날이었다. 회색빛 개량한복을 말쑥하게 차려입는 손 씨와 그의 제자들이 취재진을 반겼다. 교통체증으로 약속시간보다 한 시간가량 늦게 도착해 아쉽게도 판소리교육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사철가에 이끌려 판소리를 시작하다

손 씨는 1974년 수협에서 사회생활을 처음 시작했다. 지금과는 달리 첫 직장을 평생직장으로 여기던 때라 그 이후 35년을 수협에서 보냈다. 수협중앙회에서 시작해 본점 영업부장을 거쳐 서초 지점장 등 순탄한 삶을 살았다. 남들은 한 번도 하기 힘들다는 지역본부장을 2번이나 역임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년퇴직이 다가올수록 은퇴에 대한 고민이 깊어졌다. 당시 17년간 운동삼아 해오던 골프 외에는 이렇다 할 취미가 없었던 손 씨는 취미를 먼저 만들기로 했다. 때마침 먼저 판소리를 배우고 있던 지인의 소개로 판소리를 시작하게 됐다.

그가 고향임 명창을 통해 처음 배운 판소리를 바로 사철가다. 손 씨는 ‘봄은 찾아왔건마는 세상사 쓸쓸허드라’며 헛헛한 인생사를 이야기하는 사철가의 가사에 감동해 판소리를 본격적으로 배워보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사철가에는 퇴직을 앞두고 있는 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더 빠르게 매료됐는지 모르겠습니다. 판소리는 인생의 희로애락을 아주 해학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그 안에서 배우는 바가 많습니다.”

은퇴 후 국악인으로 살겠다는 결심은 그의 열정에 불을 붙였다. 그때부터 1년여간 한 달에 4회에 걸쳐 개인레슨을 받았다. 판소리 다섯마당(춘향가, 수궁가, 적벽가, 심청가, 흥부가) 중 그가 첫 스승인 고향임 명창을 통해 배운 것은 춘향가다. 판소리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생활습관도 자연스레 바뀌었다.

“퇴직 전이었던 만큼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매일 아침 출근 전 산에 올라가 1~2시간가량 연습을 했습니다. 또 선생님의 노래를 녹음해 출근하는 차안에서 반복해서 들었습니다. 목 관리를 위해서 담배도 끊었습니다. 그리고 시간을 아끼기 위해 17년간 치던 골프도 그때쯤 그만뒀습니다. 오직 판소리만 생각했습니다.”

그의 이러한 판소리 사랑은 퇴직을 1년 앞당기게 했다.

“정년퇴직을 1년 앞두고 회사를 그만뒀습니다. 더 많이 배우고 싶은 욕심 때문이었죠. 당시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주봉신 선생님을 두 번째 스승으로 모시고 주말마다 전주에 내려가 고법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과감히 결정을 내렸죠.”

판소리 고법은 고수가 북장단을 치는 방법을 말한다. 손 씨는 이때 판소리고법과 함께 수궁가를 배우게 된다.

노력은 결코 배신하지 않는다

그는 소리를 시작한지 불과 5년 만에 ‘박동진 명창명고대회’에 나가 신인부 장원을 받았다. 이 상은 예상 밖의 성과였던 만큼 그에게 큰 자신감을 안겨줬다.

“2008년이었습니다. 판소리를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았던 만큼 경험삼아 나가보자는 생각이 컸습니다. 상은 꿈도 못 꿨죠. 당시 판소리 비전공자가 20여명이었는데 제가 제일 고령자였습니다. 그런 제가 장원을 탔습니다. 정말 노력한 만큼 성과가 나온다는 것을 그때 다시 한 번 뼈저리게 느끼게 됐습니다.”

2008년은 손 씨에게 뜻 깊은 해다. 신인부 장원에 이어 김제에서 열린 전국 국악제 일반부에서 대상까지 탔다. 이듬해에는 전국 국악대전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을 거머쥐었다. 하지만 어려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웬만한 단편소설처럼 긴 가사가 문제였다. 한번 소리를 시작하면 구구단을 외우듯 가사가 줄줄 나와야하는데 쉽지 않았다. 그때마다 더 연습에 매진했다.

“하루 종일 소리를 질러대 얼굴이 붓고 목에서 피가 나온 적도 있습니다. 주위에서는 그 나이에 무슨 고생이냐는 반응도 있었지만 전 즐거웠습니다. 포기하고 싶다는 생각은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숨이 차오를 때 좋은 소리가 나온다고 해서 한 시간가량 산을 타고 정상에 연습을 했죠.”

일 년에 두 번, 여름과 겨울에 20일가량 산에 들어가 노래연습을 하는 ‘산 공부’는 지금도 계속하고 있다. 산 공부는 오직 판소리만을 마주할 수 있는 시간인 만큼 기량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손 씨는 노력 못지않게 좋은 스승을 만나는 것도 판소리를 배우는데 있어 중요하다고 말한다.

“노래는 일반 공부와 달라서 책으로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특히 판소리는 구전 전승되는 부분이 많아 좋은 선생님을 만나는 게 중요합니다. 판소리를 처음 배울 때 대부분 선생님을 많이 모방하는데 여기서 안좋은 습관이나 기질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는 2009년 송재영 명창을 세 번째 스승으로 삼았다. 이후 환갑 생일에 흥부가 완창발표를 목표로 삼고 연습에 매진했다. 쉬는 시간 없이 세 시간가량 진행되는 완창을 판소리를 시작한지 10년도 채 안된 손 씨가 해내는 일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었다. 결심을 다지기 위해 직접 철학관을 찾아 호도 지었다. 옥소리 정(玎)자에 왕성할 왕(旺)를 사용해 ‘옥소리가 울려퍼진다’응 뜻의 정왕(玎旺)이 그때 만든 호다. 그렇게 목표를 이루겠다는 일념으로 3년을 준비했다. 그리고 지난 4월 그는 흥부가 완창을 성공리에 마쳤다.

“흥부가 완창을 끝내고 났을 때의 그 기분은 말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61세에 저는 제가 이루고 싶은 걸 하나씩 이뤄가 있었습니다. 말로 못 다할 만큼의 보람을 느꼈죠. 그리고 제가 퇴직 후에 판소리를 배우느라 적지 않은 돈을 쏟아 부어 가족들의 우려도 컸습니다. 하지만 이번 완창발표를 통해 가족들에게도 인정을 받았습니다. 무엇보다 그게 가장 행복했습니다.”

손 씨는 판소리를 하면서 행복지수가 높아졌다고 한다. 현재 그는 한밭대학교 평생교육원과 대전동구문화원 등에서 판소리를 가르치고 있다. 또한 대전등지에서 공연도 한다. 국악인으로서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그가 포스트 손영준을 꿈꾸는 이들에게 판소리를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내와 끊기가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는 분야가 아닌 만큼 시간과의 싸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블루오션을 공략하라

그는 이제 새로운 목표를 정하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달려가고 있다. 가장 우선적인 목표는 대통령상이다. 손 씨는 이상을 타야

사진=박지현 기자
비로소 명창으로 거듭날 수 있다고 말한다. 그 다음은 심청가 완창이다. 또한 83세까지 소리를 했다는 박동진 명창을 롤모델로 삼아 최소한 70세까지는 판소리를 하며 살고 싶단다.

“흥부가 완창을 3년 만에 해낸 만큼 심청가도 그만큼, 아니 어쩌면 조금 더 시간이 걸릴지 모르지만 꼭 이뤄낼 겁니다.”

주저 없이 목표를 말하는 그의 모습에서 61세라는 나이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어 그는 나이를 핑계로 시작을 두려워하는 이들에게 쓴 소리를 했다.

“주위에 은퇴를 앞둔 사람들을 보면 ‘내가 이걸 이제 시작해서 뭐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새 100세 시대라는 말이 나오는데, 사실 지금 50대면 앞으로 50년을 더 살아야 합니다. 지금부터 새로운 일을 시작해 10년만 고군분투하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손 씨는 이어 자신이 판소리를 제2의 직언으로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 허심탄회하게 털어놨다.

“판소리가 너무 좋았습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판소리를 업으로 삼아야겠다고 결정한 건 블루오션분야였기 때문입니다. 제가 퇴직을 준비할 당시 이미 퇴직을 해 새로운 삶을 살고 있는 친구들이 많았습니다. 그중에는 색소폰을 전문적으로 배우는 친구도, 또 취미를 업으로 삼겠다며 프로 골프로 나서는 친구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국악인은 없었습니다. 제가 단기간에 지금의 위치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남들이 하지 않는 일을 선택한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아울러 그는 투자 없이 성공하려는 욕심을 버려야 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은퇴 후에 무엇을 할지 고민 중이라면 일단 자신에게 투자할 마음가짐이 돼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만약 저처럼 국악인으로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고 싶다면 우선 가까운 문화원이나 평생교육원을 찾아가면 됩니다. 그리고 소리를 배우고 나서도 결심이 확고하다면 이제 개인 레슨을 받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판소리를 스승에게 사사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좋은 선생님을 만나는 것도 노력이 필요합니다.”

진정한 국악인이 되기 위해서 여전히 배울 것이 많다는 손 씨의 최종목표는 자신처럼 뒤늦게 판소리를 시작해 국악인으로서의 삶을 살고자하는 이들에게 길잡이가 되는 것이다.

<50+성공노트>

준비기간 및 과정 - 지역 문화센터나 대학교 평생교육원을 통해 판소리의 기초를 배울 수 있다. 3개월가량 판소리를 배운 후 전문적으로 소리를 배우고 싶다면 선생님을 정해 개인레슨을 받는 것이 좋다. 선생님은 문화센터나 평생교육원 선생님을 통해 소개를 받거나 개인적으로 명창을 찾아 오디션을 받고 제자로 들어가는 방법이 있다. 판소리를 배운지 1년가량이 경과하면 신인부 대회에 출전할 정도의 실력이 된다. 여기서 상을 받아야 일반부 대회에 출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반부에서 대상을 받으면 명창부에 나갈 수 있다. 명창부에 나가기 까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5~6년가량이 소요된다.

성공노하우 - 판소리를 잘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연습하는 방법밖에 없다. 처음에는 선생님의 노래를 들으며 모방하려고 노력하다가 차츰 자신만의 색을 찾아가야한다. 그래서 판소리에는 인내심과 끈기, 그리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