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년간 소득취약 노인가구가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소득취약 계층에서 노인가구·모자가구·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50%에서 69%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에 따라 복지정책을 수혜대상 특성에 맞게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은 7일 '특정 소득취약계층의 소득구조 실태와 정책적 함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토대로 진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취약 노인가구(2013년 기준 평균연령 75세)가 2006년 72만 가구에서 2013년 148만 가구로 2배 이상 늘었다. 

소득취약계층 내 노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율도 2006년 34%에서 2013년 56%로 빠르게 늘었다. 또 독거노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득취약 1인가구도 2006년 31.5%에서 2013년 42.8%로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소득취약 노인가구는 정부·비영리단체 지원금 등의 의존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노인가구의 평균 경상소득구조를 분석한 결과 이전소득 38만4천원, 근로소득 6만8천원, 사업소득 6만9천원, 재산소득 1만2천원으로 나타나는 등 총소득에서 차지하는 이전소득 비중이 72%로 조사됐다. 이전소득은 정부, 비영리단체 등으로부터 받는 돈을 말한다.

소득취약 노인가구 특성은 △가구주 여성화 △가구주 고령화 △고졸 이하 학력 가구주 비율 96% △가구주 취업률 20% 대로 낮은 취업률 등이었다.  한경연은 "노인가구 주요 소득원이 정부 지원인데 지원정책은 조손가족 통합지원서비스, 일자리 지원 등에 편향돼 있다”면서 "가구주 연령대가 평균 74.8세로 높다는 점을 감안해 현물지원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