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양인정 기자] 성동조선에 대한 법원의 현장 조사가 시작된다. 수차례 실사 조사를 받았던 성동조선이 이번에는 법원 주도로 제대로 된 실사 평가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회생절차 실사 결과가 성동조선의 구조조정의 방향을 결정할 중요한 변수로 작용될 전망이다.

3일 파산 법조계에 따르면 창원지방법원 제 1파산부(재판장 김장관 판사)는 이날 오후 1시에 성동조선해양에 대해 현장검증에 들어간다. 김 재판장이 주관하고 배석판사와 관리위원이 참여한다.

성동조선 관계자는 “재판부가 현장검증을 통해 채무와 자산 현황, 조업 현황을 살펴볼 계획”이라며 “대표자 심문과 노동조합의 심문도 이날 같이 진행된다”고 말했다.

오락가락 했던 채권단 실사, 회생절차에선 객관성 찾을까 

성동조선의 구조조정의 방향은 곧 진행되는 법원의 실사 조사 결과에 따라 정해질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성동조선의 제2야드를 매각하거나 수리 조선 등으로 업종전환이 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으나 구조조정 업계는 아직 장담하기 이르다는 분석이다.

앞서 지난해 11월과 올 3월에 진행된 두 번의 실사에서 성동조선은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이 같은 결과가 회생절차에서 쉽게 뒤집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반대로 결과를 쉽게 장담할 수 없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대형 회계법인의 한 관계자는 “기존 조사결과의 허점을 파고들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며 “높게 측정된 청산가치의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실사의 의뢰자와 비용부담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조사결과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은 성동조선에 대해 지난 8년 동안 총 10번의 실사를 했다. 불과 4개월 만에 청산가치와 계속기업가치의 결과가 뒤바뀌는 경우도 있었다.

실사결과를 자의적으로 해석했거나 회계 법인이 채권단의 눈치를 봐 가며 결과를 내놓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바른미래당 박주현 미래당 의원실에 따르면 성동조선 존속가치는 지난 8년 동안 실사 시기에 따라 2조원 넘게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동조선의 청산가치는 지난해 11월 7000억원으로, 계속기업가치 2000억원보다 5000억원이 많았다. 다만 청산가치의 근거와 내용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조선소의 유형 및 고정자산은 대부분이 선박, 기계설비, 부동산이고 이들이 청산가치의 내용을 이룬다. 다만 조선소가 건조 중인 선박은 선수금 환급보증(RG, Refund Guarantee)을 해온 은행이 담보권자로서 사실상 소유자나 다름없다. 선박들이 은행 소유로 청산가치에서 제외되면 남는 것은 기계설비와 부동산이다.

회계업계 관계자는 “기계설비의 경우 중고시세를 반영해 가치를 평가했을 것”이라며 “조선업황이 좋지 않다면 기계장치의 청산가치는 더 낮게 평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계선박 발주물량이 지속해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이번 실사에 어떻게 반영될지 주목된다.

산업연구원 결과에 따르면 세계 선박 발주량은 올해 2780만톤으로 지난해보다 20%로 늘어났고 이후 2022년까지 4270만톤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실사에서 글로벌 물동량의 변화가 성동조선의 수주량 증가로 예측될지 지켜볼 일이다.

법원은 이날 현장 검증 후 주 채권자인 수출입은행이 제출한 회생신청에 대해 절차를 개시할 것인지 결정한다. 법원은 개시결정과 동시에 성동조선의 법정관리 책임자인 관리인을 선임하고 회생절차의 구체적 일정표를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