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의 아우성, 100×80㎝ Acrylic on Canvas, 2017

“생각과 심상은 거울에 비친 영상과 같아서 해를 끼치거나 도움을 줄 힘이 없습니다. 신기루나 무지개처럼 실체가 없지만, 그것이 원인이 되어 상호작용하고, 또 우리 몸과 상호작용하므로, 생각과 심상은 실재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마음의 움직임이 생기는 고요하고 빛나는 자각의 공간을 발견하게 되면, 설사 그 내면의 영역에서 감정과 욕망의 폭풍이 몰아친다 해도, 우리는 내면의 자유와 안식처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마음과 통찰, 앨런 윌리스(B. Alan Wallace)著, 이창엽 옮김, 클리어 마인드 刊>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유년 꿈들이 마법의 실타래처럼 피어나는 듯하다. 보드랍고 찬란한 빛깔을 머금은 채 꽃잎에 부서지는 영롱한 햇살은 ‘나’와 함께 성장한 고마운 신비다. 한 송이 꽃에 한 줌의 생명을 불어 넣듯, 정성스럽고 고귀한 유품들을 소중하게 보듬어 혼신(渾身)의 선(線)들이 춤춘다.

벅찬 감정과 새로움으로 피어오르는 행복함에 감격한 미세한 흔들림의, 꽃이여. 심연의 바다 푸른 출렁임이 손끝리듬으로 양각과 음각을 자유롭게 넘나들면 아 꽃이 핀다, 꽃이 터지네!

▲ 100×100㎝, 2017

◇떨림 그 기대와 망설임 교차

‘꽃의 아우성’시리즈는 한국어 ‘끌’과 독일어 ‘회화’를 결합한 ‘끌 말러라이(Kkeul Malerei)’ 기법을 접목한 작업이다. 한영준 작가가 착안해 낸 독창적 기법으로 회화와 판화의미를 결합한 합성어다. 그리고자하는 주제를 염두에 두고 캔버스 위 다채로운 아크릴물감을 층층이 올리는데 여기까지가 회화적 요소다.

물감이 마르면 끌로 파내기 시작한다. 직선, 곡선, 수직, 길고 짧은, 비스듬하게 등 작가의 손놀림에 따라 대패 밥처럼 물감덩이가 잘려져 나온다. 그렇게 파낸 위에 정사각형 틀을 얹는다. 그 각각의 틀 안에서 작가가 구상했던 문양으로 다시 또 파내면 비로써 그림이 완성된다.

한영준(ARTIST HAN YOUNG JOON)작가는 이렇게 말했다. “끌을 대고 처음 파내는 순간, 긴장과 기대감 그리고 약간의 망설임이 교차하는 떨림이 존재한다. 의도한 것이 나올 수도 있고 생각지 못한 환상적인 색감이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두터운 물감두께를 강약으로 조절하면서 파내다보면 어느 순간부터 이미지의 느낌이 온다. 그때가 작가로서는 큰 기쁨이라 시간 가는 줄 모른다.”

▲ 140×100㎝, 2018

◇제4차 산업혁명의 융합적사고

‘끌 말러라이’화면은 2차원 평면에서 파내 3차원적으로 다가간다. 2.5차원으로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조명이나 햇빛, 보는 각도에 따라 꽃송이가 마치 바람결에 나풀거리며 살아 움직이는 듯 환상적인 색채감의 싱그러운 생명력으로 탄생한다. 작업최종단계에 얹는 정사각형 틀은 인간 삶 저마다의 공간을 떠 올리게 한다.

규범과 질서처럼 틀은 마치 현대인의 아파트나 사무실에서 움직이는 모습들을 연상시킨다. 거기서 제 각각의 색깔이 우러나오기 때문에 그만의  고유적인 특성이 발휘되는 셈이다. 이른바 창조적 상상력과 개성의 발현이라는오늘날 제4차 산업혁명패러다임의 융합적사고와 연계된다.

한영준 작가(韓榮俊. HAN YOUNG JOON)는 꽃을 비롯한 대자연 그리고 다양한 생각과 존재들의 사회공동체구성원으로써 역할을 함의한 회화와 판화의 앙상블을 드러내 보이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