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김덕호 기자] "노동조합이 홈플러스와 그 회사 직원들의 앞길을 가로막고 서있다…벼랑 끝에서 밀어내고 있는 장본인은 오히려 '내부'에 있었다"

홈플러스 매각 저지 ‘핀셋 개정' 이라고 불리는 안산시의 조례개정에 대해 홈플러스가 내놓은 원색적 비난이다. 노조가 개입한 것으로 알려진 이 조례 내용은 안산점 개발 용적률을 1100%에서 400%로 축소하는 내용이 담겼다.

그리고 이 개정안은 지난 18일 안산시 의회에서 가결된다. 노조는 시민단체, 정치권과 연대해 점포 매각을 막고, 매장 철수를 중단시킨 눈부신 성과(?)로 보는 듯 하다. 회사 보유 자산 가치 하락 법안 통과를 돕고, 자축하는 다소 의아한 상황이다.

노조의 노력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21일에는 홈플러스 폐점매각계획 무산 기자회견을 개최할 계획이다. 추석 연휴 기간 전국 80여개 매장 파업 돌입 등 회사 저격 행보도 예약됐다.

그렇다면 이번 조례안 통과를 통해 노조는 '매장 철수 중단'이라는 이득을 얻었을까?

이에 대한 홈플러스의 공식 반응은 '아니다'이다. 유동화가 됐고, 추후 프로세스 진행에도 어려움이 없다는 입장을 냈다. 계약 내용에 인허가 조건부가 없기에 계속 추진될 것이라고 밝히고, 일각에서 제기한 화이트코리아(안산점 매수자) 계약파기 가능성에 해서도 일축했다. 논쟁이 표면화 하는 것을 원치 않는 분위기다.

지금으로서는 노조와 회사 누구의 주장이 맞을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다만 어떠한 상황이 되더라도 양측 누구도 기대만큼의 이익을 얻기 힘든 상황이 됐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홈플러스의 주장이 옳다면 노조는 헛물을 켠 것이 된다. 그러나 노조가 지역 정치권에 영향을 끼치고, 이로 인해 매입한 부동산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는 시그널을 매수자들에게 주게 된다. 여타 매장의 매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이다.

반대로 노조의 주장대로 된다면 홈플러스는 자산유동화 타격, 부동산 가치 하락의 이중 리스크를 안게 된다. 자산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노조에게도 좋은 이슈는 아니다.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대중들이 쉽게 노조의 손을 들어주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격렬한 반대를 외치지만 매력적인 대안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치와 결합하는 순간 노동운동의 순수함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제는 양쪽 모두 '생존'과 '회생'을 외치며 노력하지만 이익과 손해가 동반된다는 점이다. 회사는 노조의 발목잡기, 노조는 집요하게 MBK의 자본 침탈을 주장한다. 대립하고, 양보하지 않는 극단의 치킨 게임이다.

이번 사태에 대해 노조 관계자는 “이런 부분을 우려하는 것은 사실이다. 우리 역시 이렇게 안갔으면 좋았을 텐데라고 생각한다. 다만 MBK든 화이트코리아든 매각 명분은 실리가 없고, 우리는 매각하면 후회할 일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라고 말했다. 대립의 극한이다.

그간 회사와 노조가 걸어온 길, 그리고 이들의 이권과 갈등을 생각한다면 쉽게 교집합을 찾을 수 없는 상황이기는 하다. 하지만 어떠한 행동을 하건 그 안에는 그들의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도 든다. 분개한 발목잡기가 아닌 분명한 결론을 낼 수 있는 행동을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