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절반은 퇴직과 이직, 중간정산 등의 이유로 퇴직급여를 미리 받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고용노동부가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함께 20세 이상 직장인 남녀 2951명을 대상으로 노후와 퇴직급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발표한 결과, 절반을 웃도는 1775명(60.1%)이 은퇴 이전에 퇴직급여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

이 가운데 91.6%(1622명)는 가족생계 등 생활비(47.1%), 해외여행 등 여가(23.4%), 전세·주택구입(15.9%), 결혼(6%), 기타(4.6%), 자동차 구입(3%) 등에 퇴직급여를 사용했다.

퇴직 급여를 받아 저축을 하거나 옮긴 직장으로 퇴직급여를 넘긴 일부 직장인을 제외하면 전체 응답자의 56.3%가 은퇴 전 생활비나 여가, 주택자금 등으로 퇴직급여를 써버린 셈이다.

퇴직급여 사용 경험자 중 45.7%는 돈을 쓰고 난 뒤 후회했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목돈 마련을 위한 저축 기회를 놓쳤다(55.4%)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노후준비자금 소진(25.6%), 불필요한 곳에 소비(18.1%)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전체 응답자 중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직장인은 47.4%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노후준비 수단(복수응답)은 국민연금(61.8%), 개인연금(54.6%), 저축 및 펀드(48.8%), 퇴직연금(31.7%) 순으로 나타났다.

노후 준비를 하는 직장인들은 노후자금의 안정성(84.8%, 복수응답)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했고 이어 수익률(46.5%), 세제 혜택(18.7%) 등을 꼽았다.

전체 응답자의 86.9%는 노후준비 장치로서 퇴직급여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은퇴 후 선호하는 퇴직급여 수령 방법은 일시금(51.2%)과 연금(48%)이 비슷한 비율로 조사됐다.

한편 이직, 퇴직 경험이 있는 1775명 가운데 26%(462명)는 퇴직급여를 제때 받지 못했다. 퇴직급여 체불 이유로는 기업의 재정악화로 인한 체불(36.8%), 퇴직급여 제도가 없는 기업에 근무(34%), 기업 도산(22%), 기타(7.2%) 등 순으로 조사됐다.

권혁태 고용노동부 근로개선정책관은 “퇴직급여가 중간에 생활자금으로 쓰이는 것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후생활 안정에 큰 위협”이라며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퇴직연금 가입률을 높이고 단계적으로 퇴직연금 가입 의무화, 퇴직연금 장기가입 혜택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