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투아니아 대만대표사무소 홈페이지 캡처
리투아니아 대만대표사무소 홈페이지 캡처

‘하나의 중국’ 원칙을 무시했다며 리투아니아에 전방위적 경제제재를 가해왔던 중국이 슬그머니 뒤로 물러섰다.

2년여 간 지속해온 경제제재 조치를 해제하고 관계 재개를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파리 잡듯 벌해야 한다”(환구시보)던 중국이어서 국제사회에선 뜻밖이란 반응이 나온다. 인구 14억의 ‘대국’ 중국의 경제제재에 맞선 인구 230만의 ‘소국’ 리투아니아의 뚝심에 높은 평가가 이어진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외무장관회의 참석차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한 가브리엘리우스 란트베르기스 리투아니아 외무장관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세계무역기구(WTO) 등에 의한 외교적 절차에 따라 리투아니아에 대한 중국의 경제적 압박 조치 대부분이 해제됐다”며 “교류 재개를 위한 논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세관에 따르면 올들어 10월까지 리투아니아의 대(對)중국 수출은 1억10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53% 늘어 가파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양국 갈등은 2년 전에 시작됐다.

2021년 11월 리투아니아 정부는 수도 빌뉴스에 있는 ‘타이베이 대표사무소’ 명칭을 ‘리투아니아 대만 대표사무소’로 변경하는 것을 승인했다. ‘타이베이’가 아니라 ‘대만’이란 명칭을 사용한 것은 사무소에서 대사관으로 지위가 격상됐다는 의미다.

중국은 강력 반발했다. ‘하나의 중국’ 원칙을 무시했다는 것이었다.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전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법적 정부이며 대만은 양도할 수 없는 중국의 영토라고 주장하며 ‘전랑외교’를 펼친다.

중국은 주리투아니아 대사를 본국으로 송환하고, 리투아니아 주재 공관을 대표처로 격하했다. 세관 전산시스템의 수입 대상국 목록에서 리투아니아를 삭제했다. 리투아니아의 대중국 수출은 80%나 급감했다.

리투아니아는 움츠러들지 않았다. 곧바로 주중 대사관을 철수했고, 유럽연합(EU)의 공동대응을 촉구했다. 중국의 경제 제재는 WTO 규정에 어긋나는 ‘부당한 협박’이라면서다.

한편으로는 대만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지난해엔 대만에 자국 대표부를 열었다. 대만 대표부 문제는 제3국인 중국과 논의할 사안이 아니라는 꼿꼿한 자세였다.

결국, 미국과 패권경쟁 속에서 유럽에서 지지세력을 확장해야 하는 중국으로서는 두 손을 들 수밖에 없었을 것이란 분석이다.